영화 속 주인공인 흑인 청년 크리스는 자신의 백인 여자친구 로즈의 부모님을 만나기 위해 시골 별장에 초대를 받게 됩니다.
사랑스러운 로즈는 “우리 부모님은 흑인 대통령인 오바마를 세 번이라도 찍었을 정도로 인종 차별이 전혀 없는 사람들이야”라고 안심시키지만, 별장에 도착하게 된 뒤 마주하는 로즈의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이상한 분위기 속에서 크리스는 무언가 점점 심각한 불안감에 휩싸이게 됩니다.
얼핏 보면 겉으로는 친절하고 개방적인 듯 보이지만, 그 속에 감춰진 불쾌하고 기묘한 인종주의적 시선과 뿌리 깊은 착취 구조가 조금씩 드러나게 되면서, 단순한 "여자친구 가족을 위한 방문"이 끔찍한 생존 게임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저 단순한 공포가 아닌, ‘사회적 공포(Social Horror)’의 혁명
"겟 아웃"은 전통적인 공포 영화에서 볼 수 있는 괴물, 유령, 점프 스케어보다는 사람에게서 불편함, 침묵 속의 긴장, 사회적 시선을 공포로 승화시켜버린 작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직접 와닿지 않았던 흑인이 백인 중심 사회 속에서 겪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불편함’을 전달합니다.
로즈의 가족들은 “넌 운동 잘하지?”, “너무 쿨해”, “오바마 좋아했어” 같은 겉보기엔 흑인을 차별하지 않고 우호적인 사람들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흑인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지 않고, 하나의 고정된 이미지로만 받아들이는 미묘한 차별과 불쾌한 감정들이 영화 내내 흐릅니다. 그동안 내가 생각했던 ‘나는 인종차별하지 않아’라는 착각이 사실은 가장 위험한 인종차별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영화입니다.
공포 연출 방식의 차별성
"겟 아웃"은 기존 스릴러와 미스터리를 어울어지게 섞어 만든 불안한 분위기가 핵심인 영화입니다.
썽큰 플레이스(Sunken Place): 크리스가 최면에 걸린 후 빠지게 되는 이 ‘검은 공간’은, 흑인들이 사회 속에서 목소리를 잃고 침묵 속에 갇히는 현실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공간입니다. 몸은 있지만 자신의 의지가 없고, 보고 듣지만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관객이 주인공의 시점에서 어떻게 느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플래시 한 방
다른 흑인 인물이 사진의 플래시 한 방에 갑작스레 제정신을 찾는 장면은, 세상 속 사회 구조의 억압을 벗어나는 순간을 상징합니다. “진실을 보는 눈”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로즈 가족과 손님들
이들이 흑인 육체를 탐닉하고, 그 안에 백인의 정신을 이식한다는 설정은 ‘문화적 전유(cultural appropriation)’와 ‘흑인 신체에 대한 fetish’에 대한 강한 비판으로 보입니다.
배우들의 몰입도 높은 연기
다니엘 칼루야
크리스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인물입니다. 특히 선큰 플레이스에서 최면에 걸려 눈에 눈물이 맺힌 채 감정을 억누르는 그 장면은 관객에게는 절대 잊을 수 없는 명장면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앨리슨 윌리엄스
평범하고 친절해 보이다가 갑자기 180도 돌변하는 연기를 통해 이 영화에서 ‘가장 무서운 악역’을 보여줍니다.
※ 이 영화는 각각의 조연들도 다들 놀라운 연기를 보여줍니다. 무표정한 웃음, 어딘가 조금씩 고장 난 듯한 대화 방식이 모든 것이 현실과 살짝 비튼 세계를 아주 정교하게 표현하여 집중력을 올려줍니다.
감독 조던 필의 연출력
조던 필은 "겟아웃" 작품으로 감독 데뷔작으로 아카데미 각본상 수상이라는 기쁨을 얻었습니다. 코미디언 출신답게 세상 속 날카로운 풍자와 유머를 교묘하게 배치하면서, 사회적 메시지를 기존에는 표현할 수 없었던 공포라는 장르로 자연스럽게 녹여냈습니다.
그의 후속작 "어스(Us)"나 "놉(Nope)"도 겟아웃과 비슷한 방식의 ‘사회적 공포’를 이어가며, 오로지 그만의 장르를 만들어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숨은 디테일, 다시 보면 더 무서운 요소들
여자친구인 로즈가 초반에 경찰에게 크리스의 신분증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장면은, 사실 그를 ‘실종 처리’ 하기 위해 어떠한 공식 기록도 남기지 않으려는 복선입니다.
또 가족들의 집에 있던 모든 흑인들은, 사실상 백인의 의식을 강제로 이식당한 인형들이라는 설정이며, 비록 겉모습은 흑인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고와 행동은 백인, 이는 흑인의 정체성을 지우는 상징이기도 합니다.
인종차별에 대해 겉으로는 호의적인 듯 말하는 백인 손님들은 넌지시 “흑인의 힘, 백인의 통제”라는 은유가 관통되는 대사들이 보여 사회의 인식이 어떠한지 보여줍니다.